-
1.
-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근대문화' 이미지 생산과 기억의 재구성 : 군산의 사례를 중심으로 = Production of 'modern culture' image and reconstruction of memories utilizing 'modern cultural heritage' : focusing on the case of Gunsan
- 양지영, 전북대학교, [2023]
-
2.
- 양처현모사상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여성의 지위 : 현모, 양처현모, 신양처현모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ought of "Ryosaikenbo"(good wife & wise mother) and the status of Women in Japan
- 박현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3.
- 강화 교동진오기굿의 무형유산적 가치 = Intangible heritage value of Ganghwa Gyo-dong Jinoh-gigut
- 박설,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4.
- 도쿄디즈니랜드와 소비사회의 도시공간 : 이미지세계의 3차원화로 등장한 도쿄디즈니랜드와 도시공간성립과의 연속성에 대하여
- 이은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
5.
- 일본 내의 오키나와 그 이미지 형성과 전개과정 - 해양 박람회를 중심으로-
- 권선아, 전북대학교, [2006]
-
6.
- 일본식 경영의 시대적 변화 양상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changes in generation which shows the way of Japanese management
- 김지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
7.
- 일본 대중사회의 전개와 여성들의 생활변화에 대한 고찰 - ‘団塊’ 주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hange of Women's Life In the Japanese Popular Society - Focusing on the "DANKAI" Housewives -
- 권재심, 전북대학교, [2006]
-
8.
-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문화 이해 교육에 대한 고찰 : <일본어Ⅰ> 12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The textual analysis of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JapaneseⅠ> of high school-
- 한창규, 전북대학교, [2006]
-
9.
- 日에서 韓으로 방향성을 가진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고찰 : Animation으로부터 Game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 송성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10.
- 고령화 사회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 일본 스가모 지조도오리( 巢鴨地藏通り)상점가를 중심으로
- 조미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