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드라마 활용을 통한 의문사 담화표지 교육 방안 연구 : ‘왜’와 ‘??’ 대조를 중심으로
- 멍단단,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
2.
- 한·중 '왜'와 '怎么'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Woay' and Chinese 'Zen me'
- 주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
3.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요리 동사 교육 방안 연구 : 가열 동사를 중심으로
- 진설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
4.
- 여성결혼이민자의 방언 교육 : 경남(남해)방언을 중심으로
- 이미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
5.
- 국어 입말의 비격식체 종결어미 연구 = A study on the informal styles final ending in spoken Korean
- 목지선, 경상대학교, [2015]
-
6.
- 문말 '-는데'의 담화 기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onversational Function of Sentence-ending phrase '-Neunde'
- 백수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
7.
- 한국어·우즈베크어 의성어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Onomatopoeia between Korean and Uzbek
- 구자로바 딜푸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
8.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이유 표현 연결어미' 교육 연구 : ‘-아서’, ‘-니까’, ‘-느라고’, ‘-므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Reason Expressions of Korean for Chinese Learners
- 배성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
9.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단위명사 교육 방안 연구 : ‘생물’ 과 ‘사물’ 를 중심으로
- 양약청,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
10.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 '손' 과'발' 을 중심으로
- 손가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