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디지털 논리 회로 교육에서의 Blended Learning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 = Effects of blended learning method on education of digital logic design
- 임서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2.
- 자유학기제와 꿈-자본 간 관계 연구 :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semester system and dream-capital :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free semester system
- 박지영, 서울시립대학교, [2018]
-
3.
- 사회자본이 기층 협상민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중국 선전(深?)시 사구(社區)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Grassroots Deliberative Democracy: Examining the Case of a Community in Shenzhen, China
- 순윤타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4.
- 한국 드라마가 중국 대학생 시청자들의 가치관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 Research of Korean dramas' spread and influence on Chinese college students' values
- 레이잉, 서울시립대학교, [2018]
-
5.
- 불평등 정당화 과정으로서 몸의 개발과 노력 : 국내 성악장을 중심으로 = Developing the Body and Making Effort as Processes of Reproducing Inequality : A Qualitative Study of the Field of Classical Vocal Music in Korea
- 김태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6.
- “Does This Count as Discrimination?”: An Analysis of Foreign Residents’ Responses to Differential Treatment in South Korea = 국내 거주 외국인의 인종 차별 경험 및 대응 양상에 관한 연구
- 쎄리얼리유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
7.
- 생산성 향상을 위한 3D 객체 생성 딥러닝 모델 설계 및 구현 = Deep learning model design of 3D object generation for enhancing productivity
- 유병현, 한양사이버대학교 미래융합공학대학원, [2023]
-
8.
- 중국 소수민족 경계 변화 연구 : 조선족, 몽골족, 위구르족의 민족교육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Chinese Ethnic Boundary Changing: Focusing on the Ethnic Education of the Korean, Mongol, and Uyghur
- 김리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
9.
- 시각장애인의 삶의 질과 주관적 웰빙에 관한 연구 = Th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김두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10.
- 혼인 유형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국사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Assortative Marriage Pattern on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Chinese Society
- 양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