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현대미술에 있어 ‘범생명적 초월주의’ 미술운동의 의의
- 서양옥,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
2.
- 추상미술 표현기법 체험을 위한 수업지도안 연구 : 고등학교 실기 수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Class Guidance Plan for Experiencing A Technique of Expressing Abstract Art: Centering on A Practical High School Lesson
- 이시안,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3.
- Vincent Van Gogh 회화의 색채표현을 통한 감성과 특징 연구
- 김재란,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4.
- 에코뮤지엄 개념의 지역박물관 건립을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다누리골 에코뮤지엄 중심으로
- 김화순,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3]
-
5.
- 칸딘스키(Kandinsky)와 클레(Klee) 회화의 음악적 경향에 관한 연구
- 소윤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6.
- 민화의 교육적 가치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미술수업을 중심으로
- 박수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7.
- 국제 문화 협력 분야에서 문화 기획자의 역할과 방향
- 김한별,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5]
-
8.
- 1970-80년대 낙서화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 장 미셸 바스키아와 키스 해링을 중심으로
- 김다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9.
- 국내 아트 콜라보레이션 현황에 관한 사례연구 : 국내 작가와 국내외 브랜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 중심으로
- 최보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
10.
- 소외계층의 문화예술 향유권 확대를 위한 재원확보 방안 연구 : 개인 기부를 통한 재원확보 방안을 중심으로
- 김성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