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유용산림자원식물 연구동향과 자생지 임분 구조 및 환경특성 = Stand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in Habitat of Useful Forest Resources Plants and their Research Trends
- 김텃골,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
2.
-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주요 임분의 개체군 구조 및 동태 = Popul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main stand in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of Sokwang-ri
- 김현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
3.
- 발왕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속식물상 및 임분구조 특성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of Standard Structure of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in Mt. Balwang, South Korea
- 김영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
4.
-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강원도 산림의 생물다양성 및 생체량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the Analysis of Korean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Focusing on Biodiversity and Biomass in Gangwon-do
- 박신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5.
- 제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지위지수 추정 = Estimation of site index for major tree species by using the 6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 강현우, 고려대학교, [2017]
-
6.
-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의 산림자원량 예측 모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forest resource model for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forests
- 권상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
7.
- 내설악 전나무 고목림 임분 구조의 기본 자료 조사 = (A) basic survey about stand structure of old Korean Fir stands in Mt. Sorak
- 정의경,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
8.
- 편백 조림지의 임분밀도 관리방안
- 이환호,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
9.
- 곶자왈지역 임분유형 분류에 따른 관리방안 = Management Plan with Forest Type of Gotzawal Area in Jeju Island
- 정광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
10.
- 임분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양분과 빛의 이용 특성
- 권보람,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