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DBAE이론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과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 A stydy on teaching method of art curriculum by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in elementary 5th grade
- 이명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2.
- 단군신화를 소재로 한 미술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arts education method using Dangun myth
- 엄정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3.
- 초등 미술교육에서 오브제 미술 이해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understanding object art in elementary education
- 성혜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
4.
- 현대 미술에 나타난 시각적 미디어의 활용과 이해를 위한 미술교육 방안 = (The) Plan of art education for using and understanding of visual media in contemporary art
- 윤현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
5.
- 사진 이미지를 활용한 발상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 회화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drawing out students' ideas by using photographs
- 정민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6.
- 한국 현대미술의 비평적 감상지도 방안 = (A) Study on methods to guide critical appreciation of Korean modern fine arts
- 양정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
7.
- 카툰을 활용한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신장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Improvement of Visual Literacy through Cartoon
- 정은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8.
- 비디오 제작을 통한 시각문화교육 신장 방안 : 프로세스 폴리오를 활용한 자기 촬영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isual Culture Education through Video Production : videos by profess-folio
- 김유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9.
- 사진을 활용한 회화작품 중심으로 현대미술에 나타난 재현에 관한 연구 = Research for the Representation shown in Contemporary Art with priority given to Paintings using Photograph
- 이민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
10.
- 낙서화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활용한 미술과 수업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rt Class Utilizing the Communication Properties of Graffiti Art
- 김규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