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교수체제 모형(ADDIE)을 적용한 통합건강증진사업 직무 전문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박미주,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7]
-
2.
- 코로나19 유행에서 노인의 감염 및 사망 불안 관련성 분석 :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이용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and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in the COVID-19 epidemic : analysis of Community Health Survey 2020
- 박소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
3.
- Characterization of SHORT-ROOT function in the arabidopsis vascular system of root and shoot = 애기장대 뿌리 관다발과 지상부 발달에서 SHORT-ROOT의 역할에 관한 분자유전학적 분석
- 유난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
4.
- 코로나19 발생 전후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시도경험 관련 요인 비교 : 제14차~17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중심으로 = A comparison of factors of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betwee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dolescents from general families : based on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from 14th-17th
- 김혜경,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
5.
- 지역별 의료접근성이 예방 가능한 입원율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regional health care accessibility on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 박혜인, 서울시립대학교, [2020]
-
6.
- 코로나19 대응 중에 보건소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경기도 소재 보건소를 대상으로 =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nd burnout of health center workers during COVID-19 response : for health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 한동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3]
-
7.
-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비만도,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an Art Therapy Program on the Obesity,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Elementary Students
- 이지현,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8]
-
8.
- 주거빈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비장애인, 장애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Poor Housing on Mental Health : Focusing on Comparison of the Non-Disabled and Disabled
- 유설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보건대학원, [2022]
-
9.
- 만성질환 교육이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
- 이요셉,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5]
-
10.
- 만성질환자의 일차의료 치료지속성이 응급실 방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ntinuity of primary care o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 한진옥, 가천대학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