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수학적 추론의 제 측면과 추론 평가 문항 분석 : 국내학업성취도평가,PISA,TIMSS의 수학 문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Assessment items on mathematical reasoning in National Achievement Tests, PISA and TIMSS
- 박혜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
2.
- Excel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모델링과 추론학습 = Teaching Mathematical Modeling and Reasoning with Excel to High School Students
- 임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3.
- 탐색적 자료 분석 관점에서 본 대푯값으로서의 평균의 적절성 : 우리나라 7차 교과서에 나타난 예시 자료를 중심으로 = On Relevance of Mean as a Representative value of Data shown in Secondary Math Textbooks
- 김민정,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4.
- 현행 고등학교 성취평가제에서 단위학교 분할점수 산출에 대한 대안적 연구 = An Alternative Study on Deciding School-level Cutoff scores for High School Achievement-based Assessment
- 홍선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
5.
- 수학 문제해결에 성공한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사고 특성 = Characteristics of meta‐cognitive thinking in proficient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박윤근, 건국대학교, [2019]
-
6.
- Visual Math를 활용한 수학 부진아 인수분해지도 사례 연구
- 김동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7.
- 증명 문제해결 교실 담화에서 교사 발화 및 사회수학적 규범 분석 = Analyses of Teacher Utterance and Socio-Mathematical Norms during Classroom Discourse in Proof Problem Solving
- 변규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
8.
- 수학학습장애 연구 동향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전윤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
9.
- 일제강점기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 A curriculum study o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허지영, 건국대학교, [2019]
-
10.
-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준거개발 : 수와 연산, 확률과 통계 중심으로 = Developing analysis criteria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on storytelling perspectives : focused on number/operation/and probability/statistics
- 권윤정, 건국대학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