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영상 매체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 김려령 <완득이>를 중심으로
- 이슬기,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2.
- 서예와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초등학생 인성 함양 방안 = Method to foster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sonality by using penmanship and calligraphy
- 신동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3.
- 자원봉사활동의 체험 사례와 예화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experiences and example story materials of volunteer activities
- 임인환,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4.
- 이청준 소설의 모티프 연구 :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박세윤, 대진대학교, [2016]
-
5.
- 고등학생 수학불안 요인별 분석 : 시기 및 학교/학생 변인에 따른 연구
- 최원종,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6.
- 노자 윤리사상의 이론 토대와 인성교육적 의의
- 강미연, 대구교육대학교, [2020]
-
7.
- 「天人心性合一之圖」의 구성 원리와 그 의의 = The principle for theoretical construction and meaning of 「Diagram of the Unity of Natural mind and Human mind」(天人心性合一之圖)
- 김부연, 창원대학교, [2018]
-
8.
- 공자의 교학사상과 제자교육 = confucious' Educational Thought and Disciple Trainning
- 이학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9.
- 혜강 최한기의 기학(氣學)과 그 교육론적 특성 : 기(氣)운화론을 중심으로 = Hyegang Choi Han-ki's Gihak and its educational features
- 이만우,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10.
- 張載 氣哲學의 理論的 構造 : '正蒙'을 中心으로 = (The)theoretical structure of Ch'l philosophy of Chang Tsai
- 장윤수, 慶北大學校,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