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건 중 188건 출력
,1/19페이지
-
1.
-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초기 곱셈 문제 해결에서의 프로셉트 사고와 표현 분석 =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2nd Graders' Proceptual Thinking and Representations in the Process of Early Multiplication Problem Solving
- 신새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
2.
-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도형 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 감각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Geometrical Instruction Using Mathematical Modeling on the Grade Students’ Spatial Sens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 박유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3.
-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지식 기반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Program Emphasizing Mathematical Knowledge for Gifted Student
- 최윤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
4.
- 초등수학영재교사의 영재 수학수업과 일반 수학수업에서의 교수유형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Teaching Styles between Math Classes for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 유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5.
- 초등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실태 및 교사 인식 조사 = A Study on Teachers'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echnology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 김영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
6.
- 산술적 사고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nd level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 임미인, 서울교육대학교, [2017]
-
7.
- 인공지능 원리를 융합한 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al Education Program Converg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inciples
- 최현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
8.
-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따른 초등 수학 영재의 통계적 소양 분석 = Analysis on Statistical Literacy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fted Education Program Based on Statis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 노주승,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
9.
- 한ㆍ중 뮤지컬의 교류현황과 활성화 방안 = The current status and Cooperation plan of between Korea and China Musical.
- 임지현, 안동대학교, [2016]
-
10.
- 수학적 창의성 측정방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measurement methods of mathematical creativity
- 이경원, 서울교육대학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