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조선후기 詩壇의 袁枚 詩論 수용 양상 = The Study on the Acceptance about Wonmae's poetic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 한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
2.
- 최남선의 고시조 수용작업과 근대전환기의 문학인식
- 윤설희, 성균관대학교, [2014]
-
3.
- 兪漢雋의 道文分離論과 散文 세계
- 박경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
4.
- 어우 유몽인의 산문론과 산문의 서술방식 연구
- 김영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
5.
-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散文의 構圖와 展開
- 안득용,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
6.
- 할리우드 영화에 나타난 자포니즘의 신화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Mythical significance of Japonisme in Hollywood film
- 박수형,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2008]
-
7.
- 교과서 현대소설 발췌수록 양상 연구
- 주영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5]
-
8.
- 남한·북한·중국 조선족의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연구 : 고등학교 공통 국어를 중심으로
- Wu, Chunzhi,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
9.
- 중국에서의 <춘향전> 수용에 대한 연구
- 학청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
10.
- 19세기 연행가사의 성격 연구 : 서술양상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f Characteristics of the Nineteen Century's Yonhayng Gasa : Aspect of Description
- 홍진영,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