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소비의도 결정 요인 연구 =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WatchJanpanese Animation Films
- 주박문, 한양대학교, [2018]
-
2.
- 2019년 홍콩 시위 관련 신문 보도의 단어네트워크 분석 : 싱가포르의 <롄허 자오바오>를 중심으로 = Word network analysis of newspaper report about the 2019 Hong Kong demonstrations : focusing on Singapore Lianhe Zaoba
- 풍춘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
3.
- 중국 대학생들의 탄막동영상에 대한 사회적 시청이 몰입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social viewing effect of barrage video on the flow and satisfaction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호일사필력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4.
- 중국 마이크로 영화 광고의 만족도와 상품 구매의도 결정요인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of Chinese micro movie advertising
- 유아함,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
5.
- 중국 대학생의 해외 (한국, 미국, 영국) 드라마 시청 결정요인 비교 = Comparison of Determinants of Watching Overseas Dramas (Korean, US, UK) by Chinese College Students
- 유명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6.
-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 프로그램의 지속적 시청의도 결정 요인 =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watch korean real variety program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장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
7.
- 모바일 게임 캔디 크러쉬 사가의 구매의도 결정 요인 연구
- 윤가희, 한양대학교, [2015]
-
8.
- 대중음악 취향에 대한 20대와 50대 구성원들 간 상호인식 차이 : 힙합, K팝, 트로트 장르의 비교 = Differences in mutual perception of popular music tastes among members in their 20s and 50s : a comparison of hip hop, K-pop, and trot genres
- 이우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
9.
- 유튜브(YouTube) 이용동기에 대한 장년층과 청년층 간 상호 인식 차이 연구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derly-young generation perception on YouTube use motivation : application of coorientation model
- 이상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
10.
- 20대 중국 대학생들의 국가별 문화적 근접성 인식과 장르별 영화 선호도가 국가별 영화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perception of cultural proximity and film preference by genre on the preference of film
- 왕시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