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전태용과 전숙희의 경기 창부타령 소리 비교 연구 : 만리창공과 우연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arison of Jeon Tae-yong’s and Jeon Sook-hee’s Gyeonggi Folk Song, ‘Changbutaryeong’ : Focused on Manlichanggong and Uyeonhi
- 서행복,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2.
- 1950년대 수필에 나타난 자유의 알레고리 연구 : 조경희, 전숙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llegory of Freedom in Essays in the 1950s : Focused on Cho Kyunghee and Jeon Sookhee
- 김명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
3.
- 경기12잡가 中 ‘박춘재’와 ‘전숙희’의 <달거리> 선율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melodies of <Dalgeoree> by Park Chunjae and Jeon Sukhee among the Gyeonggi 12 Japga
- 이민경,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4.
- 서도잡가 제전(祭奠)의 음악적 연구 : 박월정·김정연·전숙희 창을 중심으로 = (A) musical study of Jei jeun in Seo do-jabga
- 함영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5.
- 경기12잡가 소춘향가 시김새연구 : 전숙희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sigimseh of a small Chun-hyang song of 12 Gyeonggi Folk Songs
- 공윤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
6.
- 성인학습자 대상의 문학교육방안 연구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course of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recognized as academic career-
- 전숙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7.
- 초등영화교육연구 : 서울 덕암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Study on film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Duk-ahm primary school
- 전숙희, 대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6]
-
8.
- 현대시 교육 방안의 모형별 비교 연구 : 신석정의 시 <꽃덤불>을 중심으로
- 전숙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9.
- On the lower dimensional cases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tensor field *gλμ
- 전숙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
10.
- 아버지의 양육행동, 놀이참여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 = The Effects of Fathers' rearing practice and play participationsof Childs' Emotional Regulation
- 전숙희,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