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한 마찰음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 -단편영화 <Blind Touch>를 중심으로 = A study of realistic sound generation in virtual reality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a short film, "Blind Touch"
- 정민섭,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4]
-
2.
-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영상표현연구 : -본인작품 "동상이몽"을 중심으로 = A Study of visual expression using storytelling in interactive media art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 the DongSangEMong
- 장세영,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5]
-
3.
- 무의식의 시각화를 위한 비물질적 가시성을 활용한 오디오비주얼 표현 방법 연구 = A Study on Audiovisual Expression Utilizing Nonmaterial Visibility for Visualization of Unconsciousness
- 이동화,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3]
-
4.
- 영상 기반 미디어 아트에서 서사적 공간 재현을 위한 인터랙티브 표현에 관한 연구 : 본인 작품 <우발적 풍경>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isual interactive expression for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the space reproduction of moving image in media art
- 양연희,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6]
-
5.
-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하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Visual Merchandising (VMD) 디자인 연구 : - 본인 작품 “Super Hero”를 중심으로 = A study of visual merchandising design(VMD) utilizing visual storytelling to improve brand awareness -Focused on author’s work, “Super Hero”
- 김경선,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3]
-
6.
-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특성을 이용한 동적 오브제의 시간성에 대한 에술적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with Dynamic Object in Image based on Features of Digital Media -Focused on the Author's Work, <dynamic hour>
- 박소라,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6]
-
7.
- 1인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가상 환경 공연예술에 관한 연구 : 인공지능 기반 공연환경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본인 작업<Re:Giselle>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forming arts in virtual environments for activating one person content: Focusing on <Re:Gisel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augmented reality
- 육지민,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22]
-
8.
- 유아동 생활 습관 교육을 위한 창의적 학습 놀이 도구로서 모바일 AR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obile AR contents design as a creative learning play tool for education of children's life habits
- 길시은,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5]
-
9.
- 차이와 반복의 관점에서 파생된 운동감에 대한 영상 표현기법 연구 : 디지털 미디어 기반 패션 이미지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oving picture on the object's perspective derived from difference and repetition : focusing on fashion image based on digital image
- 홍진영,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2019]
-
10.
- 유교문화가 조선후기 민화에 미친 영향 : 효제문자도와 책거리도를 중심으로
- 전지윤,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