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식물에서의 apoptosis inhibitor protein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능 연구 : 全惠淑 [저]
- 전혜숙, 경상대학교, [2004]
-
2.
- 朝鮮後期 문헌에 기록된 化粧文化에 관한 考察 = The Cosmetic Culture Described in Korea Literature in the Late Choson Period
- 우미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
3.
- 고려말 元 干涉期 복식문화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stume Culture of Koryo in its Late Period under Yuan's Interference
- 안현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
4.
- 회화를 통한 다층적 시공간의 표현
- 최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5.
- 한국·중국의 손 관리 미용문화 = A study on the culture of hand beauty care in Korea and China
- 김은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
6.
- 미디어에 의해 시·공간이 압축된 도시공간의 혼종성 표현 연구
- 임우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7.
- 경계로서의 틀과 잠재적 현실에 대한 연구 : 플라모델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rame as a border and immanent actuality : focused on the plamodel artworks
- 김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
8.
- 사회적 통제 프레임에 대한 미학적 고찰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우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9.
- 관계맺음의 스토리텔링 : 시간과 공간 속 개인의 흔적 = Storytelling from relationships : traces of an individual within time and space
-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
10.
- '사이' 인식을 통한 잠재적 풍경의 표현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latent landscape through an awareness of the in-between : focused on my works
- 이주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