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華城陵幸圖와 정조의 대민정책 = Hwasung nung-hang-do(A Painting of a Journey to the Royal Tomb in Hwasung) and King Jung-jo's Policy to ward the People
- 조영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
2.
- 고구려 초기 천도기사와 왕실교체
- 김종은, 숙명여자대학교, [2001]
-
3.
- 6세기 초 신라왕권과 葛文王의 지위 변화
- 양자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
4.
- 조선시대 佛敎式 喪·祭禮의 설행양상 : 왕실의 국행불교상례와 사족의 봉제사사암을 중심으로
- 박정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
5.
- 5~7세기 신라 국정운영과 대등
- 양자량, 숙명여자대학교, [2019]
-
6.
- 제6,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문화사 단원 서술 분석 = A Study on the Cultural History Unit of the 6th and 7th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 최지윤,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7.
- 6~7세기 신라의 중앙집권화와 民의 실상 = The centralization of Shilla and the reality of ‘min(民)’ in the 6~7th century
- 정호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8.
- 조선후기 미인도의 성격 = The Character of the late Joseon-dynasty's Beauty Paintings
- 임미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9.
- 신라 寺院成典의 위상 변화
- 장유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10.
- 제7차 중학교 『국사』 교과서와 대안교과서『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비교 연구 :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까지
- 최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