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심청가 中 ‘황성 올라가는 대목’의 가야금병창·서편제 판소리 비교 연구 : 박귀희와 정순임의 사설·선율을 중심으로
- 최수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
2.
- 육자배기토리를 활용한 중학교 가야금병창 지도 방안
- 정선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
3.
- 거문고 병창 '새타령'연구 = A Study of Geomungo Byeongchang 'Saetaryeong'
- 최영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
4.
- 판소리와 가야금 병창의 시김새 변천과정 연구 : -1920~1990년 고고천변 사설을 중심으로-
- 신아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
5.
- 판소리와 가야금 병창에 관한 연구 : 박봉술바디 <적벽가>와 박귀희류 <적벽가>중 '조자룡이 활 쏘는 대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nsori and gayakeum byongchang : focusing on 'the topic of Cho, cha ryong shooting arrow'
- 나승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
6.
- 오태석과 박귀희의 가야금 병창 비교연구 : 현존하는 음반을 중심으로
- 위희경, 중앙대학교, [2000]
-
7.
- 강정열 가야금병창의 연구 : 호남가·죽장망혜·녹음방초·공도라니·편시춘 = A Study on Kang Jeong-yeol's Gayageum Byeongchang
- 김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8.
- 중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가야금병창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흥보가 中 유색황금눈 중심으로 =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Gayageum Byongchang for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s : Yusaekhwanggeumnun(柳色黃金嫩) of Heungboga
- 신윤아, 용인대학교, [2008]
-
9.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가야금병창 연구 = Study on Gayageum-byungchang as an extra school activity at elementary schools
- 金榮純,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
10.
- 가야금병창 수업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 중심으로
- 박지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