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양축설화>의 한중 소설화 양상 = A Study on Novelization Aspects in <Yang-chuk Tale> in Korea and China
- 장단,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2.
- <사씨남정기> 형성과 중국 가정소설 : <사씨남정기>·<금병매>·<임난향>을 중심으로 =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formation of <Sassinamjeonggi> and Chinese Domestic Novels : Focusing on <Sassinamjeonggi>·<Geumbyeongmae>·<Imnanhyang>
- 진신,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7]
-
3.
- 삼국시대 서사문학 연구 : 《삼국사기》ㆍ《삼국유사》에 나타난 통치자의 형상을 중심으로
- 김효림,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2]
-
4.
- <춘향전>과 <두십낭노심백보상>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ale of <Chun Hyang Jeon> and the Tale of <Du Shiniang Sinks the Jeuel Box in Anger>
- 진성국,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5.
- [청산]심상의 시적 전개
- 김병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80]
-
6.
- 게슈탈트 치료에서의 내담자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client's experiencing in Gestalt therapy
- 정은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7.
- 宮延 實記文學 硏究 : 쟝르 이론과 受容美學的 見地에서 = (A) study on court documentary literature : From the view of the genre theory and aesthetic reception theory
- 정은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
8.
- 푸드스타일에서의 시지각 효과에 관한 연구 : 색채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color = A study on the visual perception effects of foodstyle
- 정은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9.
- 素月詩의 民謠的 特質
- 정은임, 高麗大學校, [1980]
-
10.
- 정서표현성과 대처양식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 정은임, 가톨릭대 심리상담대학원,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