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고등학생의 사회과 교과 원격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일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전은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2.
-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분석 :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전현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3.
- 중학생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이 남북통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평화·통일 감수성의 매개효과 분석
- 김영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4.
- 사회 교과와 영어 교과의 공통 내용을 포함한 세계시민교육 통합 초등영어 수업 설계 = Elementary English lesson plan including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book and English textbook integra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최유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5.
-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실제 : 중학교 2학년 사회 과목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 송경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
6.
-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경험이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님의 진로지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bicultural experience on the career determin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career guidance
- 육주홍,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7.
- 1931년 식민지 조선에서의 반중국인 폭동의 동학
- 임준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
8.
- 수원국 '약자의 행위성'에 관한 연구 : 르완다 사례를 중심으로
- 박세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
9.
- 고등학생의 사이버 정치참여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2016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 김형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10.
- 사회자본과 공공봉사동기의 관계 분석 :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 임낙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