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성학십도를 모델로 한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 개발
- 장은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2.
- 정암 조광조의 삶과 사상이 갖는 교육적 의미 = = The e ducational meaning of Cho Kwang-Jo(Jung-am)'s lifeand thoughts
- 김효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3.
- 왕양명의 아동교육론 = WangYangMing's theory of child education
- 박실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4.
- 동학의 모심-섬김-살림을 통한 생명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fe education through Mosim-Seomgim-Salim of Donghak
- 박성용,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5.
- 무주상보시(無主相布施)의 교육적 의미
- 김문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6.
- 청소년 상담에서 사주철학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 = Review of the applicability of the Saju(the four pillars) philosophy in youth counseling
- 공근령,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7.
- 무경계의 자각과 현존의 교육적 의미
- 김수철, 대구교육대학교, [2018]
-
8.
- 朝鮮前期 敎化硏究 : 성종·중종(1469-1544)년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f 'Gyo-Hwa(敎化)' in early Yi-Dynasty
- 정재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9]
-
9.
- 산디니스타 革命過程에 관한 硏究
- 鄭在杰, 韓國外國語大學校, [1991]
-
10.
- 朝鮮時代 庶民敎育으로서의 敎化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Gyo-hwa as education of low class people in the Yi-dynasty
- 정재걸,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