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 주체사상 총서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Process of the Juche Idea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Series of Juche Ideas -
- 이재승,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
2.
- 18~19세기 野史叢書의 文獻學的 硏究 : 「大東稗林」을 중심으로
- 권석창,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2]
-
3.
- 朝鮮中期 士林派의 社會政治思想 硏究 : 南冥 曺植과 來庵 鄭仁弘을 中心으로 = (A)study on the social and political thoughts of the Sarimp'a(intelligentzia;literati) in the middle years of Chosun(Yi Dynasty) Korea
- 권인호, 成均館大學校, [1990]
-
4.
- 高宗治下 西學受難의 硏究 = Studies on catholic persecutions during king Ko-Jong's reign
- 유홍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63]
-
5.
- 북한의 신민국가 형성, 1967-1980 : 주체(subject)를 생산하는 정치와 문학 = Narrative construction of subject state in North Korea : a struggle for legitimacy through the creation of subject by politics and literature, 1967-1980
- 최영희,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
6.
- 中國共産 黨‘集團指導體制’에 關한 硏究 : '習近平式’집단지도체제와 ‘黨內民主’의 관계를 중심으로
- 정승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
7.
- 중국의 당군관계와 장교교육제도 변화의 상관성 연구 :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professional military education(PME) system and party-military relations in China : from the viewpoint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 이두형,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12]
-
8.
- The US President as Chief Negotiator : Analyzing Domestic Political Strategy in US-China Relations = 수석협상가로서의 미국 대통령: 미중관계에서의 국내정치전략 분석
- 안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
9.
- 1950년대 전반기 국민사상연구원의 설립과 활동 = (The)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National Thought Research Center in the 1st half of the 1950s
- 김봉국,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
10.
- 조선조 문헌의 평가를 위한 비교 연구 : 〈연려실기술>, <대동야승>, <성호사설>, <택리지>를중심으로 = (A) comparative revire of Choson dynasty literatures : <Oyonlyosilkisul><Taedongyasung><Songhosasol> and <T'aekniji>
- 이혜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