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취학 초기 아동의 문자 해득 정도가 국어과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affection on Korean studies accomplishment and school adjustment were had by the extent of children' understanding letters in the early stage of entering school
- 김은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2.
- 한글 미해득 초등 저학년생을 위한 에듀테크 활용 교육의 효과성 분석
- 구은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5]
-
3.
-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 및 부모의 문해지도와 한글책임교육제에 대한 인식 : 아동의 한글 해득 수준에 따른 비교 =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Literacy Guidance and Attitudes Towards Intensive Hangeul Education Policy: A Comparison In Regards to the Child's Hangeul Acquisition Level
- 김효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
4.
- 컴퓨터 동아리 사례를 통해 본 정보문해자의 생활경험학습
- 윤현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5.
- 다문화 유아의 놀이 활동에 나타난 한글 해득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quiring Hangeul with the play Activities of a Multicultural Child
- 강재의,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6.
- 단계적 시지각·영상자료 활용이 학습부진아의 문자해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tepwise Visual Perception/Configuration Data Have on Text Interpretation by Poor School Achievement Children
- 이철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7.
- 형상화 자료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문자해득에 미치는 효과
- 유석봉,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8.
- WBI(Web Based Instruction)활동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문자해득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WBI (Web Based Instruction) activities on legi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slower learner
- 이용승,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9.
- 멀티미디어 언어학습이 학습부진아의 문자해득에 미치는 효과
- 이은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10.
- 조선시대 '武' 功臣 墓制 石物 硏究
- 김혜연,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