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전라도 <제석굿>의 구성과 삽입가요 연구 =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Jaeseok-gut> of Jeolla province and Inserted Song
- 하미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
2.
- 《제석굿》의 풀이와 놀이 연구 = (A) Study on the Puri & Nori of 《Cheseokgut》
- 이명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
3.
- 경기도 남부 <제석굿> 연구
- 변남섭,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4.
- 진도씻김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분석
- 전광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
5.
- 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분석
- 박정경,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02]
-
6.
- 경기 도당굿에서 화랭이의 음악 분석 : 제석굿에서 화랭이 조한춘의 무가와 장단 중심으로 = Analysis about the music of Hwaraeng-i in Kyunggido Dodanggut
- 장기석,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2003]
-
7.
- 전북지역 세습무의 민족지적 연구 = An Ethnographic Study of Hereditary Shamans in Jeollabuk-do Region
- 김성식, 全北大學敎, [2017]
-
8.
- 한국의 굿 중 <제석본풀이> 서사구조 연구 : 도당굿, 앉은굿, 씻김굿 비교를 중심으로
- 정용하,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2015]
-
9.
- 帝釋굿의 춤 硏究 : 万九大擇굿과 씻김굿의 帝釋굿을 中心으로
- 김명주, 淑明女子大學校, [1987]
-
10.
- 동해안별신굿과 진도씻김굿의 제석춤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Jeseokchum in Donghae-an Byeolsingut and Jindo Ssitgimgut
- 박기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