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노자의 정치사상과 제왕학 = Laozi’s Politcal Ideas and Disciplines of Kingship
- 강대용, 울산대학교, [2021]
-
2.
- <<大學衍義輯略>>과 <<國朝大學衍義>> 譯注 : 〈察民情〉을 中心으로
- 장경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
3.
- 노자의 사회 정치사상에 대한 연구
- 강대용,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4.
- 조선후기 三皇五帝故事圖 병풍 연구
- 김두은,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
-
5.
- 橘山 李裕元의 學問 性向과 類書ㆍ筆記 編纂에 관한 硏究
- 권진옥,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
6.
- 遁甲演義卷一 解題에 나타난 奇門遁甲法에 關한 硏究 = A study on the Qimendunjia the basis of the Dunjiayanyi Book I
- 손대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1]
-
7.
- 正祖의 『大學』 해석 연구 = A Study on King Jeongjo[正祖]’s interpretation of the GreatLearning[大學]
- 전현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
8.
- 東岡 김우웅의『聖學六箴』硏究 = (A) Study on the Dong-skangs'『聖學六箴(Sunghak-yukjam)』
- 최봉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9.
- 朝鮮 英ㆍ正祖代 世子(世孫)敎育의 實態 = (The) real educational aspects for the princes chosen as the next king at the times of youngjo and jeongjo in chosun dynasty
- 김정화 (金貞和),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10.
- 율곡(栗谷)의 제왕교육론(帝王敎育論) 연구 = A study on Yulgok's theory of kingship education
- 홍석대, 한국교원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