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조선총독부의 『朝鮮史』 편찬 사업
- 정상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
2.
- 구한말 한일 양국의 한국사 인식 비교 : 『中等敎科東國史略』과 『朝鮮史』를 중심으로
- 박주국,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3.
- 權悳奎의 『朝鮮史』에 나타난 한국사 인식 = Gwon, Deok-Gew understanding on Korean history on the his book, Chosunsa
- 정민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
4.
- 日本人의 朝鮮史 認識에 관한 硏究 : 壬辰·丁酉再亂 及び獨島歪曲問題について = 日本人の朝鮮史認識に關する硏究 : 壬辰. 丁酉再亂 及び獨島歪曲問題について
- 남영찬, 釜山外國語大學校 國際經營·地域學大學院, [2007]
-
5.
- 金澤榮の朝鮮史認識に關する硏究
- 최혜주, 東京大學校, [1995]
-
6.
- 일제강점기 鄕土敎育 연구 : 역사‧지리 교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ocal Education in Japanese Colonial Era : With a Focus on the History and Geography textbook
- 문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7.
- 1930년대 전반기 일제의 고등보통학교 역사교과서 검인정제도와 조선사교육의 특성
- 허미애,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
8.
- 朝鮮後期 仁祖代 政治論의 分化와 變通論 = (The)split of the political theory and the theory of adaptability during the King Injo's reig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김용흠, 延世大學校, [2005]
-
9.
- 高宗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 연구 =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and reform of the king Go-jong
- 장영숙, 祥明大學校, [2005]
-
10.
- 朝鮮時代 雇工 硏究 = (A)study of Gogong(雇工; a wage worker) in Joseon dynasty(朝鮮時代)
- 강승호, 東國大學校,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