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3건 중 173건 출력
,1/18페이지
-
1.
- 조선사편수회 유리건판 사료 연구
- 민선유, 숙명여자대학교, [2019]
-
2.
- 稻葉岩吉(1876~1940)의 조선사 인식 = Inaba iwakichi's understanding on korean history
- 박한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
3.
- 조선총독부의 중등 역사교과서 정책과 조선사의 편제 변화 =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 policy and ‘Korean History’ organization
- 허미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
4.
- 일제의 한국사 왜곡이 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조선사(1938)』의 역사지리 비정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이인철,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2]
-
5.
- 한국 조선 산업 분석연구 : 국내 A 중견 조선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 Korea Shipbuilding Industry Analysis Study: The case study of a domestic mid-sized shipbuilder A
- 배소윤,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0]
-
6.
- 일제강점기(1924~1933) 조선사편수회의 조선사료전람회 개최와 그 의의 = The openning of ‘Joseon Historical Material Exhibition’ by Joseonsa Pyeonsuhoe and its significance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1924〜1933)
- 박호정, 동국대학교, [2017]
-
7.
- 조선총독부의 『朝鮮史』 편찬 사업
- 정상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
8.
- 조선사편수회의 조직과 운용
- 김성민, 국민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1987]
-
9.
- 韓國 造船社들의 雇用關係와 經營成果에 관한 比較硏究 : S사와 D사의 事例를 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mployment relations and management performance of Korean shipbuilding companies : focused on the case of company S and company D
- 이영춘, 慶南大學校, [2019]
-
10.
- 北韓에서의 朝鮮史의 階級鬪爭論的 解釋에 관한 批判 硏究 = (A) critical study on the theoretical interpretation of the class struggles of Korean history in North Korea
- 이호우,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