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광복 후 중국조선족 문학사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Chinese Literary History since the Korean Liberation
- 차호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
2.
- 리근전 문학의 특성 연구 : 조선족문학의 전형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Lee Geunjeon's Literature
- 조영욱,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8]
-
3.
- 한국 현대문학사의 시대구분 비교 연구 : 남한과 북한, 중국조선족 문학사를 중심으로 = 南韓, 北朝鮮, 中國朝鮮族的現代文學史時代區分比較硏究
- 전월매,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
4.
- 한국문학이 중국 조선족문학에 끼친 영향
- 강옥, 배재대학교, [2001]
-
5.
- 조선족 이중 언어교육에서 문학 텍스트에 관한 연구 : 중국 조선족 중학교 『조선어문』을 중심으로
- 朱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
6.
- 한국, 중국, 중국 조선족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문학 작품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Modern Literature in South Korea, China and Korean Chinese Middle School’s Language Textbook
- 조동,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7.
- 조선족 시문학 연구 : 계몽기 시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Chinese's Poetry: Concentrated upon the poetry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 이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
8.
- 중국의 정치변동과 조선족 농촌사회의 문학적 형상화 : 박선석『쓴웃음』과『재해』의 분석을 중심으로
- 박춘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9.
- 중국 조선족 고급중학교 조선어문 교재 연구 : 개편 전후 문학작품의 비교를 중심으로 = 中国朝鲜族高中朝鲜语文教材研究
- 김화, 동국대학교, [2014]
-
10.
- 재일 조선인 문학과 중국 조선족 문학의 비교연구 : 김달수(金達壽)의 『박달의 재판(朴達の裁判)』과 김창걸(金昌傑)의 『청공(靑空)』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Koreans in Japan Literature and Chinese Korean Literature : Center on Jin DaShou's 『Piao Da's referee』 and Jin ChangJie's 『QingKong』
- 김홍,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