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27건 중 427건 출력
,1/43페이지
-
1.
- 역대상 6장에 나타난 레위 지파의 족보 : 제의적 사람들(제사장들, 레위 사람들, 찬송하는 사람들, 네투님 사람들)을 중심으로 = The genealogy of the tribe of Levi that appeared in the chapter 6 of 1 chronicles
- 양요한, 총신대학교 대학원, [2013]
-
2.
- 羅州吳氏族譜 硏究 = A study on the Na-ju O's genealogical table
- 오기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3.
- 朝鮮中期 族譜 編纂의 정치ㆍ사회적 성격 硏究 : 『晉陽河氏世譜 - 萬曆譜』 (1606) 분석을 중심으로
- 김성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4.
- 조선 후기 족보의 여성 정보 등재 추이와 그 의미 : 安東權氏族譜(1476~1907)를 중심으로 = Trend and Meaning of the Women’s Information Register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Genealogy
- 강나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
5.
- 한국 族譜문화의 형성과 변화
- 박영한, 東國大學校, [2020]
-
6.
- 마태복음의 족보(1:1-17)의 의미와 마태의 의도
- 이근형, 한일장신대학교 한일신학대학원, [2003]
-
7.
- 전통족보의 웹서비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Web Service for Genealogical Table
- 서동혁,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
8.
- 역대상 3장에 나타난 다윗 왕가의 족보 = The genealogy of the royal family of David that appeared in the chapter 3 of 1 chronicles.
- 양요한,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1]
-
9.
- 한국족보를 통한 성서족보 교육연구 = (The)study of teaching biblical genealogy trough Korean genealogy
- 김치홍, 한신대학교 목회학박사원, [1993]
-
10.
- 韓國族譜의 根本精神과 그 倫理的 機能 = (The) Spirit and Ethical Function of "Jokbo" in Korea
- 이성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