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Petrogy~, Geochemistry and Geochronology of the Granitic Rocks in the Inje-Hongcheon District~, South Korea : 좌용주
- 좌용주, 東京大學, [1989]
-
2.
- 석조문화재와 석기유물에 대한 원산지 해석 : 불국사 삼층석탑과 고성 문암리 유적지의 사례
- 문성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
3.
- 백두산과 규슈 흑요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ekdusan and the Kyushu Obsidians
- 진미은,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
4.
-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되는 흑요석 내 미세결정에 관한 연구
- 황가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
5.
- 석제유물과 석조문화재의 암석 및 광물학적 연구 : 산청 옥산리 유적의 천하석과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사례 = A Study on Petrology and Mineralogy of Stone Artefacts and Stone Cultural Properties: Case Studies on Amazonite of Oksan-ri stie, Sancheong and Stupa of the Buddhist Monk Soyo at Baegyangsa Temple, Jangseong
- 김유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
6.
- 남한산성 외성 성벽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outer rampart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Korea
- 박상구, 慶尙大學校, [2018]
-
7.
- 석조문화재의 표면 균열 손상 메커니즘과 물리적 풍화 지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urface crack deterioration mechanism and physical weathering evaluation system for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 박성철, 慶尙大學校, [2015]
-
8.
- 화강암 석재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 거창 모동석 사례 연구 = A study on dimension stone of granitic rocks and its application : a case study on the Modong granite, Geochang
- 강종희, 慶尙大學校, [2015]
-
9.
- 특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 방법 연구 : 서울 지역 지체부자유 학교 중심으로
- 좌용주, 단국대학교, [20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