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Cascading Effects on Fish Communities Resulting from Artificial Management : Removal and Fitness Decrease of Non Native Species = 인위적 관리로 인한 어류 군집의 계단식 영향: 외래종의 제거 및 체력 감소
- 김정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
2.
- Loss of inland wetlands by anthropogenic habitat alteration : application of GIS data-driven priority process for wetland restoration = 인위적 서식처 변형으로 인한 내륙습지의 소실: 습지 복원을 위한 GIS 데이터 기반 우선순위 프로세스 적용
- 임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
3.
-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utria (Myocastor coypus) in Nakdong River basin = 낙동강 중.하류 일대 뉴트리아의 분포와 생태학적 특징
- 홍성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
4.
- 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Nakdong River Basin : The Prediction based on Ecological Modeling = 낙동강 유역에서의 플랑크톤 군집동태와 생태계 모델링을 이용한 예측
- Kim, Dong-Kyun, 부산대학교, [2008]
-
5.
- (The) habitat usage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waterbir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낙동강하구의 물새들의 서식지 활용과 보전전략
- 장지덕, 부산대학교, [2014]
-
6.
- 부산광역시 도시하천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이용한 하천정비 전·후 비교 = Fish assemblage in Urban Stream of Busan Metropolitan City and Impact Assessment of Stream Improvement on fish assemblage
- 김정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
7.
- Distribution of Colony and Larval Release of Pectinatella magnifica (Leidy, 1851) in Large Rivers of South Korea = 4대강에서의 큰빗이끼벌레(Leidy, 1851) 군체 분포 및 유생의 방출 양상
- 고의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
8.
-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Using Feces and Gut Contents for Ecological Research = 배설물과 위내용물로부터 추출한 환경유전자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생태적 연구
- Kim, Kang Hui,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
9.
- Prediction of Chlorophyll a in the Middle Reach of the Nakdong River at Maego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낙동강의 남조류 번성: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낙동강 중류 클로로필 예측
- 김효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
10.
- Environmental variables and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the Upo wetland (S. Korea) and In situ observations on the littoral movement of cladoceran: Swarming of Moina macrocopa = 우포습지내 환경학적 변이와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역동성과 연안지역으로 이동하는 지각류의 야외 관찰: Moina macrocopa의 무리형성
- 정현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