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아동청소년기에 부모이혼을 경험한 성인자녀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민영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
2.
-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긍정적 스트로크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ositive Stroke Improving Program Development and Its Effect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 박말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5]
-
3.
- 부부의 자존감, 성적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 오현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4]
-
4.
- 집단미술활동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송인숙, 아주대학교, [2007]
-
5.
-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ACT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 Effect of the ACT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Life Quality of Infertile Women
- 박하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
6.
- REBT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인문계 여고생들을 중심으로
- 김미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7.
- 맏딸의 결혼에 관한 중년남성의 경험과정 : 근거이론 접근 = The Middle-Aged Men’s Experience from First-born Daughter’s Marriage :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장문영,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
8.
- 혼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직장인을 중심으로
- 권혜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
9.
-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의 조절효과
- 노영화,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
10.
- 워킹맘상담자의 일·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문화정,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