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1980년대 이후 한국 ‘사찰음식’의 소비 양상 연구
- 오가와 레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
2.
- 조선시대 세시민속 관련 문헌의 지형도
- 김효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22]
-
3.
- 개발지와 민속조사 : 공주ㆍ연기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예정지역 인류ㆍ민속분야 문화재 지표조사를 중심으로 = (A) land development and a folkloristic research
- 유은지,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08]
-
4.
- 북한이탈주민의 기억을 통해서 본 북한의 명절 쇠기
- 최수길,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
5.
- 한국 설날의 민속지 : 과천 광창마을의 송씨 가족을 중심으로
- Anna, Tchekhlova, 韓國學中央硏究院, [2007]
-
6.
- 한국 숯의 물질문화 연구 : 생산자를 중심으로
- 딘 티 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2]
-
7.
- 분식장려운동과 밀가루 음식 소비경험 : 1960-80년대 대구·경북 지역의 사례
- 박혜민,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
8.
- 제주도 메밀마을의 특화과정과 마을 변화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와흘리와 서귀포시 광평리의 사례
- 진난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
9.
- 1890~1961년 쌀 가공·소비 관행의 변화 : 상품조선미에서 '백미'로
- 이민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3]
-
10.
- 종교공간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의 예 = (The) Folkoric study on a religious space:an example of Bongwon temple in Bongwon-dong Seoul
- 서명진, 韓國學中央硏究院,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