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학교축제의 대안적 발전방안 연구 : 고전자료 및 모티프를 활용하여
- 이성용,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2.
- 인물의 욕망 이해와 갈등 분석을 중심으로 한 <사씨남정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education of the Sassi-NamjeongGi, which focuses on understanding characters desires and analyzing confilcts
- 김다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3.
- 신제품 수용을 증가시키는 행동경제학 기법 : 목표 가속화
- 임명,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4.
- 국어 교육에서 협상 교육의 현황과 과제 =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negotiat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마소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5.
- 반응중심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본 교과서 학습활동 분석 :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운영전>에 대한 학습활동의 질문을 중심으로
- 박서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6.
- 젠더적 관점을 활용한 여성 영웅소설 교육 연구 : <홍계월전>과 <박씨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female hero novel using gender perspectives: Focusing on <Honggyewoljeon> and <Parkssijeon>
- 염혜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7.
-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소설 교육 방안 연구 : 「술 권하는 사회」와 「허생전」을 중심으로
- 김민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8.
- 신어(新語)의 수명 예측 연구 보고서 = Research Report : Predicting Neologism Life Cycles
- 나희성,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5]
-
9.
- 고전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고전 문학 비평문 쓰기 교육 연구 : 연암 박지원 산문을 중심으로
- 유지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10.
- 외로움이 AI 스피커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크라우드소싱 단서의 조절 효과
- 신윤철,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