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복합지경학 시대 한반도 국제정치 : 2018∽9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남·북·미 북핵 협상) 좌절 사례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politic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ra of complex geoeconomics : Focusing on the case of frustr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peace process (North Korea nuclear negoti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S) in 2018-9.
- 김충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2.
- 지경학으로서 일본의 인도-태평양 통상정책 :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협상과정에서 드러난 위기관리 전략 = Japan's Indo-Pacific Trade Policy as Geo-economics : Crisis Management Strategy Revealed in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Negotiation Process
- 석민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3.
- 북ㆍ중 접경지역의 초국경적 상호작용과 예외적 성격 = Cross-Border Interactions and Excep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Border Reg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 김부헌, 동국대학교, [2020]
-
4.
- 한일 대 동남아시아 공적개발원조(ODA) 비교연구 : 원조 정책은 지역구상과 어떻게 만나고 변화하는가? = A Comparative Study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toward Southeast Asia between Korea and Japan: How does aid policy meet and change with the regional initiatives?
- 허원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
5.
- 대만의 반도체 공급망에 관한 연구 : 경제안보 관점을 중심으로
- 조성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5]
-
6.
- 중국의 권(圈) 확대를 위한 철도망 구축 전략 = China’s Railway Strategy aimed at Expanding its Sphere of Influence
- Liu, Jia,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
7.
- 코로나19 이후 한·중·일의 신 지경학적 삼각관계 분석
- 왕원호, 신라대학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8.
- 인도 · 태평양 시대의 도래와 인도네시아 안보전략
- 전상태,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8]
-
9.
- 동북아 철도네트워크의 지정학적 의미 : 러일전쟁 전후와 탈냉전 이후 시기의 비교 고찰
- 임성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08]
-
10.
- 냉전 후 중국의 대한반도 지정전략과 변화 = China’s geopolitics on Korean peninsula and its changes after the Cold War
- Zhao, Yifan,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