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부부의 성정체성 지각 수준과 의사소통 정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박현숙, 서울사이버대학교, [2017]
-
2.
- 갱년기 여성의 우울경향성 감소에 미치는 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장유리, 서울사이버대학교, [2018]
-
3.
- 감사성향과 긍정정서가 노인의 성숙한 노화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itive Emotion on the Matured Aging Attitude of the Korean Elderly
- 손종호,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
4.
- 수의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진료직무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Veterinarian’s Psychological Burnout ; Regulatory effects of Gender and Medical work
- 김무석,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
5.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between the Adolescent's Parents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 조수연,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4]
-
6.
-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가족관계 만족도, 이주경험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silienc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migration experience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adolescents.
- 김천룡,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7]
-
7.
- 가정폭력 가해자의 폭력 과정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Violence Process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s
- 석미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8.
- 스피넬 구조를 갖는 고엔트로피 산화물 촉매 소재를 이용한 전기화학적 CO₂ 환원 포름산 생산 연구
- 채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9.
- 한국영화에 표현된 부부의 와해과정과 와해의 긍정성 연구 = A study on the process of marital dissolution represented through Korean films and the positive of marital dissolution
- 노현미, 울산대학교, [2016]
-
10.
- 검증된 인맥형성 및 취미모임을 위한 소셜네트워킹 어플리케이션 개선 연구 : 취미모임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 장윤희,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