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6건 중 236건 출력
,1/24페이지
-
1.
- 퇴계와 율곡의 정사(精舍)·구곡(九曲) 조영(造營)의 철학적 의미 연구
- 최준묵,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2.
- 틈 개념에 의한 한국 전통정원의 해석 : 소쇄원을 사례연구로 하여 = The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in the View of Interstitial Concept : with casebook study of Soswaewon garden-
- 서자유,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
3.
- 초등학교 정원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Garde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 한혜령,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
4.
- 중국 쑤저우(蘇州) 지역의 전통정원 구성요소와 기법을 활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Modern Interior Design Using Traditional Garden Components and Methods in Suzhou, China
- 장자흠,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5.
- 조선시대 원림도(園林圖)에 나타난 정원공간 유형 및 구성요소 연구
- 박소희,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6.
- “[T]he garden says it all” : 『아카디아』 속 정원에 투영된 스토파드의 유토피아니즘
- 조주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7.
- 풍우란 철학사상에 관한 연구
- 황희경, 성균관대학교, [1997]
-
8.
- 낭만주의 교육철학에 기초한 프뢰벨의 유아기 인간교육 = Froebel’s Huma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ased on the Philosophy of Romanticism.
- 염정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
9.
- 루이스 바라간 단독주택에서 정원에 면한 주요생활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imary living spaces adjacent to courtyard in Luis Barragan's houses
- 최현렬,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
10.
- 한중일 정원 공간형태의 특성 연구 : 다양한 사용자의 생활문화 중심으로
- 후핑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