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통합과학’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8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Material of Teaching-Learning : Focusing on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 이정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2.
-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에 포함된 활동 분석 :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 최민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3.
- 자유학기제 과학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 이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4.
-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과학 실천 수업 PCK 구성 및 PCK 요소 간 상호작용의 유형
- 양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
5.
- 과학관 전시물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 국립과천과학관과 서울특별시 과학전시관(남산분관)을 중심으로
- 이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6.
-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과학, 화학Ⅰ, 화학Ⅱ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 분석 :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 고은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7.
-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중학교 1학년 성취기준과 과학 1 교과서에 포함된 활동과 평가 문항 분석 : 과학과 핵심역량 중심으로
- 윤도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8.
- 논의 및 과학 글쓰기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신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9.
-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 적용 : 고등학교 화학Ⅰ 중심으로
- 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10.
-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 분석 :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 전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