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사회통합 장르로서 멜로드라마 : 국제결혼 이주여성 이자스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 Melodrama as a Genre of Social Integration : Focusing on a Marriage-Migrant Woman Jasmine Lee's Case
- 이예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
2.
- 국제결혼 한국남편의 사랑과 결혼에 대한 서사분석 = A Narrative Analysis of Intermarried Korean Husbands Stories of Love and marriage
- 김인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
3.
- 극지에 서지 않은 청년들 : 지방 K대 학생들의 삶의 이야기
- 장부배, 계명대학교, [2016]
-
4.
- 인민에서 국민으로(?) : 한 북한이주여성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서사적 설명 = From Inmin to Kookmin(?) : A narrative explanation of the change of
- 김영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
5.
- 다문화지원전문가 교육과정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 운영과 한계 : 거창대학 프로그램에 대한 자아문화기술지 = Curriculum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Support Specialist Courses through Operation of Program and Limitation: Auto-ethnography about the Program of Keochang Collage
- 백종숙,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14]
-
6.
- 대구경북의 마음의 습속 : 50-60대에 대한 자아문화기술지적 연구
- 최종희, 계명대학교, [2019]
-
7.
- 2008년 촛불집회와 가치의 일반화 : 신문공론장과 사이버공론장의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 강민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
8.
- 베트남이주여성의 결혼이야기 : 행위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설명
- 최인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
9.
- 신자유주의와 중국 청년의 삶 : 네이쥐안과 탕핑을 중심으로 = Neoliberalism and the Life of Chinese Youth:Focusing on Neijuan and Tangping
- 뢰택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
10.
- 막스 베버의 에로틱 영역 분화론 재고찰 : <간통죄> 폐지 논의를 중심으로 = Max Webber’s Thesis of Differentiation of the Erotic Sphere Reconsidered:Focusing on the Debates over Abolition of Anti-Adultery Law
- 이예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