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VR-EEG를 활용한 치유공간의 시지각 요소 최적화 모델 구축 = Developing a VR-EEG-based Model for Optimizing Visual Perceptual Components of Healing Space
- 김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
2.
- BIM 기반 인허가용 설계도서 추출 자동화를 위한 구조계산서 연동 보조 S/W 개발 및 실효성에 관한 연구 = A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on a Linkage Software of Structural Analysis Documents for BIM based Design Document Extraction Automation
- 류현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
3.
- 노후건축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BIM기반 역설계 조사방안 = A Study on BIM-based Reverse Engineering Design for Safety Diagnosis of Old Buildings
- 박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
4.
- 대학 강의동 타입 분석을 통한 에너지 BIM 기반 단열 성능 비교 및 효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parison and Efficiency of Insulation Performance based on Energy BIM through Type Analysis of University Lecture Buildings
- 김태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
5.
- BIM기반 에너지성능평가를 위한 공공청사 업무시설의 국내 표준 매개변수 설정 방안에 대한 연구 : -재실자 1인당 점유면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overnment Offices of Domestic Standard Parameter Setting for BIM-based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 focused on Possession Area per Person of Occpants-
- 이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
6.
- 건축 공간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공간 인접성 그래프 추출 알고리즘 개발 = Development of Spatial Adjacency Graph Extraction Algorithm for Built A Architectural Spatial Relationship Database
- 김근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
7.
- 건축물 파사드의 데이터세트 구축을 위한 이미지 자동 레이블링 기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utomatic Image Labeling Technology for Façade Dataset Construction
- 구형모,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8.
- 건축물 역설계를 위한 구조별 건축 객체 분류 및 BIM 모델 생성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ructural architecture object classification and BIM model generation techniques for architectural reverse engineering
- 김태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
9.
- 작업분류체계(WBS) 기반 건축물 안전 시뮬레이션을 위한 IFC 표준 확장에 관한 연구 = IFC Standard Expansion through WBS for Building Safety Management Simulation
- 원정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4]
-
10.
- 에너지 성능을 기반으로 한 Green BIM 디자인 평가 기법 개발 = A Development of Green BIM Design Evaluation Technique based on Energy Performance
- 이권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