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389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지역축제의 실태와 발전방향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Revitalizing Local Festival: The Case of Gimcheon
- 박규영,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
2.
-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한 지역축제 중요 속성 분석 = A Study on the Regional Festival of important attribute
- 이학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
3.
-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 감정반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Festival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and Sociality Development
- 조영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
4.
- 문화관광축제 선정 제도의 실행에 따른 지역축제의 변화 : 이천쌀문화축제를 중심으로 = The Change of Local Festival According to the Selection System of Culture Tourism Festivals Based on Icheon Rice Cultural Festival
- 진홍국, 안동대학교, [2017]
-
5.
- 미얀마 연중 축제의 사회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이소정,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7]
-
6.
- 축제 방문객의 만족도에 따른 소비지출 경향 분석 : 2009년, 2014년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festival visitors’satisfaction, and expenditure
- 계명국,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
7.
- 효과적인 주민참여형 축제 운영 방안 연구 : 대전마을합창축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operation plan of effe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festival
- 이연성,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5]
-
8.
-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주세계소리축제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the regional festival activation plan : through Jeonju Sori Festival
- 양주희,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8]
-
9.
- 지역축제의 정서적 이미지와 재방문 의도 : 김제 지평선 축제를 중심으로 = The Affective Image and Revisit Intention in Local Festival : Focus on Gimje Horizon Festival
- 이준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
10.
- 서울대표축제의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Hi Seoul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Developmental Strategy of Seoul's Representative Festival : Centering on the 『Hi Seoul Festival』
- 배병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