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Bernhard Schlink의 소설에 나타난 나치청산 문제에 대한 법철학적 탐구 : 법문학을 통한 법철학적 성찰의 보완가능성을 중심으로
- 곽지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
2.
- 郁達夫與玄鎭健小說的比較硏究 = The Comparative Study of Yu dafu and Hyeon jin-goen's novels
- 이신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
3.
- 한설야 소설에 나타난 신의(信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ithfulness of Han, Seol-Ya's novels
- 주효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
4.
- 존 듀이(J.Dewey)의 심미적 경험과 도덕교육 : 철학적 탐구공동체 모형을 중심으로 = Aesthetic Experience of John Dewey and Moral Education : Focused on the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Model
- 박상욱,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
5.
- 헨리 제임스 소설에서의 실용주의적 경험과 인식의 성장 = Pragmatic experiences and growth of perception in the novels of Henry James
- 문영희, 전남대학교, [2015]
-
6.
- 한국 현대 기독교 소설 연구 :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modern christian novels in Korea : with 1960's ~ 1970's novels as the main texts
- 황효숙, 暻園大學校, [2008]
-
7.
- 黃順元 小說硏究 : 母性愛와 汎 生命사랑을 中心으로
- 김선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
8.
- 마르셀푸르스트의「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있어서의 1인칭 용법에 관한 연구
- 지정숙, 梨花女子大學校, [1976]
-
9.
- George Eliot 작품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인식과 이상에 관한 고찰 = (A) study of the feministic understanding and idealism
- 정재선, 성균관대학교, [2008]
-
10.
- 鄕歌의 三句六名과 十二大綱譜의 관계 硏究 : 균여 향가를 중심으로 = (A) comparison between 3-Gu 6-Myeong and 12-Taegangbo on the basis of Kyunyeo Hyang-ga
- 박상진, 成均館大學校,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