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7건 중 197건 출력
,1/20페이지
-
1.
- 청소년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자기체계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emotional abuse on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traumatized self-system and emotion dysregulation
- 김명진,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
2.
- 부모의 과보호와 사회불안이 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집단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influence of parental overprotection and social anxiety on Korean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service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 박경희,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
3.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 입국 경험과 진로 준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 defectors' children born in the third world country into Korea adaption experience and career preparation
- 이은혜,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
4.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metacogni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 김수진,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
5.
- 초심상담자의 완벽주의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and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of novice counselor on psychological burnout :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권원주,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
6.
- 초등학교 학교폭력 가해학생 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of assaulters in elementary school violences
- 안봉,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
7.
- 상실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정서억제와 의미 재구성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suppression and meaning reconstruction in adolescence with loss :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 박기정,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
8.
-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경험과 초기 성인기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during adolescents and fear of intimacy during early adulthood
- 이은지,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
9.
-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다문화 성격의 관계에서 부정적 문제 지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 정결,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
10.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청소년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 외로움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ion tendency,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loneliness.
- 고민정,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