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33건 중 133건 출력
,1/14페이지
-
1.
- '독립운동사' 서술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와 기파랑 '대안교과서'를 통하여 = Controversies and Alternatives concerning Descrip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comparing current textbook of Korean Modern History with The Alternative Textbook from Kiparang
- 손화성,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2.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서술과 자료 분석 = Description abou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data analysis
- 박나정, 수원대학교, [2014]
-
3.
-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1970~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사 다시 쓰기 : <우리들은 정의파다>, <꽃다운>, <스와니: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 A study o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South Korea's rewriting of the history of women's labour movement : We are not defeated(2006), We shall overcome(2009), Swany-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2014)
- 김선명,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
4.
- 제7차 교육과정기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1930,40년대 민족독립운동사의 서술실태와 개선방안 = The descriptive contents and improvement schem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of 1903s and 1940s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in 7th curriculum period
- 서현성,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5.
- 쟁점 기반 역사학습을 통한 독립운동사 교육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사례로
- 이금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
6.
- 부산지역 여성독립운동사 연구
- 김혜진, 경성대학교, [2019]
-
7.
- 통일전선론적 시각에서본 남북한의 민족운동사 인식 비교 : 『고쳐쓴 한국 현대사』와 『세기와 더불어』를 중심으로
- 고경남,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8.
- 가톨릭교회의 환경인식과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 교황청 문헌과 한국 가톨릭교회 운동사를 중심으로
- 김홍진,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
9.
- 한국여성운동사 연구 : 미군정기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Women's movement
- 이승희, 梨花女子大學校, [1991]
-
10.
- 한국 어린이 독서 운동사 연구 : 1980~2003년 어린이도서연구회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story of the reading promotion movement for children in South Korea : centering 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children's book association during 1980~2003
- 김은옥, 계명대학교,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