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nents from Korean native plants downregulating RANTES/CCL5 production = RANTES/CCL5 생성을 억제하는 한국 자생 식물들로부터 활성 성분 규명
- 민유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한의학연구원(KIOM), [2024]
-
2.
- 한국 萬山圖(明堂地圖)의 實存 및 理論과 原理에 관한 연구
- 김두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4]
-
3.
- 동위도상 동ㆍ서해안 해안림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 Flora and Stand Structure of the Coastal Forest at the Same Latitude of East and West Coast in Korea
- 최혜진, 강원대학교, [2009]
-
4.
- 족도리풀속 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Ecological study on Anarum spp.
- 최경숙,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
5.
- 韓國産 박각시科의 地域的 分布와 季節的 消長 = Local Distribution and Seasonal Fluctuation of the Sphingidae (Insecta; Lepidoptera) with Some Revisions of Records in Korea
- 정세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
6.
- 자연형 하천 복원공사의 장마 전·후 식물상 변화 분석 연구 : 포천천을 사례로 = Analysis on the flor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in natural stream restoration work : a case study of Pocheon cheon river
- 김점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
7.
- Long-term characteristics of ecosystem carbon flux in Korean temperate broad-leaved forest under monsoon climate : 몬순기후대 한국 온대 활엽수림의 장기적인 생태계 탄소 흐름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엄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
8.
- 신석정 시의 식물 이미지 연구
- 레 티 프엉 투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9]
-
9.
- 한국인의 태몽 유형과 변천 연구
- 김재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7]
-
10.
- 한국과 몽골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잠재적 교육과정 :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 델게르 람딘,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