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382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한국음악사 내용 고찰 : 7차 교육과정 8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Review on Korean Music History as Present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 8 Textbooks published on 7th Education Curriculum
- 이정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2.
- 윤이상의 알토 플루트를 위한 <SALOMO> 한국전통음악기법 연구 : 강준일 편곡 <SALOMO>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류근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0]
-
3.
- 유재하의 음악이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은선,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9]
-
4.
- 한국전래노래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A)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n the Korean traditional rhyme(KTR)
- 이은주, 高麗大學校, [2005]
-
5.
- 한국 사극영화에 나타난 한국음악의 특성과 의미
- 성지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
6.
- 한국영화에 사용된 한국음악적 요소의 고찰 : 1986년부터 2006년을 중심으로
- 최보윤, 이화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2007]
-
7.
- 한국대중음악 스타의 스타브랜딩 전략에 관한 연구 : 개별 대중음악 스타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이진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
8.
- 윤이상 음악의 한국전통음악적 요소 고찰 : Gagok für Stimme, Gitarre und Schlagzeug(1972)(목소리, 기타, 타악기를 위한 가곡)을 중심으로
- 이경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
9.
- 21세기 한국과 중국 예술가곡의 음악적 특징 비교 연구 : - <시간에 기대어>, <첫사랑>, <내 영혼 바람 되어>, <마중>, <청옥안·원석>, <접련화>, <여기 상견약여초>, <한궁춘·립춘일> -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Art Songs in the 21st Century
- 허창,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4]
-
10.
- 한국음악 지휘(Conducting)의 변천양상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ransition aspects in conducting of Korean music
- 문주석,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