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 근대 기행시 연구 = Study on Korean modern travel poetry
- 김진희, 숙명여자대학교, [2009]
-
2.
- 韓國近代詩와 '國民文學'의 論理 = (The)Korean modern poetry and idea of 'national literature'
- 구인모, 東國大學校, [2006]
-
3.
- 한국근대문학과 도시성 문제 : 도시문화를 중심으로 = City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 이성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
4.
- 한국 해양극문학의 ‘바다’ 연구 : 함세덕「무의도 기행」, 천승세「만선」, 이강백「물고기 남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age of the Sea in Korean Oceanic Dramas
- 김성희,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
5.
- 韓國 近代隋筆의 文學史的 硏究 : 개화기에서 1920년대까지 = Histor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essays in their early stage
- 정주환, 又石大學校, [1996]
-
6.
- 한·중 近代文學 형성기 崔南善과 周作人의 역할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oles of Choi Namseon and Zhou Zuoren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moder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 조영욱, 韓國學中央硏究院, [2012]
-
7.
- 식민지 시기 한국과 베트남의 잡지에 수록된 기행문의 성격 비교 연구 : - 『삼천리』와 『남풍』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ogues in Korean Magazine and Vietnamese O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Samcheonly』 and 『Nam Phong』-
- 당티칭,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8.
- 한국 근대 이행기 시조 연구 = (A) study on Sijos of transition to modern times
- 신명란, 대구대학교, [2008]
-
9.
- 한국어 교육에서 비교문학을 통한 소설교육 연구 : 베트남 학습자 중심으로
- 오형교,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
10.
-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과 전개 : 매체를 통한 역사담론의 생산과 근대적 역사소설 양식에 관한 통시적 고찰 = 韓國の近代の歷史小說の形成と展開 : 媒體を通しての歷史談論の生産と近代的歷史小說の樣式に關する通時的考察
- 이승윤, 연세대학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