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교육적 개념으로서의 성찰과 그것의 실천적 의미에 대한 탐구
- 김종하, 경인교육대학교, [2017]
-
2.
- 듀이의 교육론을 적용한 활동 중심 교육방법 개발 : 6학년 사회과 정치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ing Activity-Centered Teaching Methods on the Basis of John Dewey`s Educational Philosophy : Focusing on the Politics Unit of Sixth Grade Social Studies
- 정선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3.
- 교육의 공공성 개념에 비추어 본 학교교육의 역할
- 이유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4.
- 흥미 개념의 교육적 의미 고찰 : 헤르바르트와 듀이를 중심으로
- 계희복, 경인교육대학교, [2014]
-
5.
- 초등학생의 철학하기를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운영 방안
- 김현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
6.
- 노작교육론의 고찰을 통한 노작활동의 교육적 가치 재조명
- 이해경, 경인교육대학교, [2019]
-
7.
- 루소 교육 사상에서의 자연인 교육과 사회인 교육의 이념에 대한 연구
- 박정미, 경인교육대학교, [2014]
-
8.
-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에서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함양을 위한 토론 수업 연구 :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이론을 기반으로
- 황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
9.
- 로저스 인본주의 교육론의 실천적 의미 = Practical Meanings of the Humanistic Educational Thoughts of Carl R. Rogers
- 유정민, 경인교육대학교, [2014]
-
10.
- 코메니우스의 교수학습방법론 연구
- 박혜원, 경인교육대학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