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Moravia 소설속에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연구 : 로마의 여인 La Romana와 권태 La noia를 중심으로
- 박소윤,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
2.
- 톰마소 란돌피Tommaso Landolfi의 『 달의 돌La pietra lunare』에 나타난 환상성Fantastico 연구
- 원소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
3.
- 단눈치오 《장미소설》에 나타난 심미적 소설기법 연구
- 윤혜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
4.
- Carlo Emilio Gadda의 Quer pasticciaccio brutto de via Merulana에 나타난 다언어성Plurilinguismo 연구
- 강아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
5.
- 밧사니의 기억의 재생을 통한 글쓰기
- 황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
6.
- Giorgio Bassani의《Dietro la porta》에 표현된 단절과 소통의 경계로서의 porta의미연구
- 황정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
7.
- 『타르타리 사막』에 나타난 '경계'의 의미 연구
- 박문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
8.
- 레오나르도 샤샤의 텍스트를 통한 현실 읽기
- 주효숙,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
9.
- 엘사 모란테의 자전적 글쓰기와 기억
- 김효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
10.
- 엘사 모란테 소설의 신화적 원형으로서 어머니-아들의 관계 연구
- 한리나,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