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매옹한록(梅翁閒錄)』 소재 사행담(使行譚) 연구 = A study on the story of envoy’s journeys in ‘Maeong Hanrok’(梅翁閒錄)
- 문현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
2.
- 부산지역 해양사찰설화 연구
- 김순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
3.
- <계축일기>에 나타난 주술의 양상과 서사적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 of Magic and Narrative meaning of that in Gye-chook Il Gi (The Diary written in Gye-chook)
- 박영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
4.
- 구비 혼례설화에 나타난 意識 연구 = A Study of the Recognitions Observed in Traditional Marriage Tales
- 임신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
5.
- 이유준(李有駿)의 『몽유연행록(夢遊燕行錄)』 연구 = A Study on Lee Yoo-jun's Mongyu-yeonhaengrok(夢遊燕行錄)
- 채우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
6.
- 休堂 李繼祜의 『연형녹』 연구 = A Study on Hyudang Lee Ke-Ho's "Yeonhaengok“
- 송상, 부산대학교, [2018]
-
7.
- 연행록을 통해 본 中國 祠廟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Intellectuals on the Shrine of China through the Yeonhaengrok
- 송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5]
-
8.
- 강준흠(姜浚欽)의 『연행록(燕行錄』) 연구 = A Study on Kang Joon-Heum's "Yeonhaengrok"
- 동건명,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
9.
- 조선후기 통신사행록의 글쓰기 방식과 일본담론 연구 = (A) study on writing method of envoy's travel essay and discourse over Japa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 정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
10.
- 한글편지에 반영된 왕실 여성의 정치 참여와 욕망 : 순원왕후와 명성황후를 중심으로 =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Desire of the Royal-Family Women as Reflected in Hangul Letters : with emphasis on Queen Soonwon and Empress Myeongseong
- 노경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