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중 신조어 조어 방식 대조 연구 = ?中新造?造?方式?照?究
- 임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2.
- 한국어 관형사절과 중국어 수식절의 대조 연구
- 단송학,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3.
- 한국어 '-(으)ㄹ 것이-' 구문과 중국어 '要' 구문의 대조 연구
- 웨이잉,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4.
- 한국어 '-어지다' 구문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왕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5.
- 한·중 지시사 대조 연구 : '이/그/저'와 '這/那'를 중심으로
- 유준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6.
- 한국어 정도부사 ‘더’와 중국어 ‘更’, ‘再’, ‘還’의 대조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dverbs ‘더’ and Chinese ‘更’, ‘再’ and ‘還’
- 소우택,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7.
- 한국어 명사절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 저영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8.
- 한국어와 창더(常德) 방언의 양태 종결 표현 대조 연구 : 양태 종결 어미와 양태 어기사를 중심으로
- 송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9.
- 한·중 감탄문 대조 연구
- 두개운,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10.
- 한·중 재귀 대명사 대조 연구
- 우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